본문 바로가기

지능 발달, 교육학, 교육 심리학, 교사의 역할

지능과 개념에 관한 대안적 접근 이론(가드너, 스턴버그)

지능과 개념에 관한 대안적 접근 이론(가드너, 스턴버그)

지능과 개념에 관한 대안적 접근 이론(가드너, 스턴버그)
지능과 개념에 관한 대안적 접근 이론(가드너, 스턴버그)

지능의 개념과 이론을 설명하는 대안적 접근으로 대표적으로 두 가지 이론을 알아보겠습니다. 하나가 가장 여러분이 잘 아실만한 가드너라고 하는 학자의 다중지능 이론이고요. 두 번째는 스턴버그의 삼원 이론입니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다중지능 이론을 아마 안 들어보신 분은 없을 거예요. 유아교육이나 라디오 광고에서도 이름이 많이 나옵니다. 처음 80년대 말에 가드너라는 학자는 다중지능 이론이라고 하는 걸 제안하면서 7개의 지능을 제안했는데요. 지금은 8개까지 얘기하고 있고 그다음에 아홉 번째, 열 번째도 준비가 되어 있어요. 아홉 번째, 열 번째 지능이 포함되지 않는 이유는 검사를 어떻게 해야 되는지의 문제라든지 지능으로써 포함될 수 있는 요건들이 아직 정비가 되지 않아서 아직은 8개까지만 얘기합니다. 언어 지능, 논리·수학 지능, 공간 지능. 이거는 몇십 년 전에 PMA를 얘기했던 써스톤과도 공통적인 요인들이에요. 그러니까 50년, 60년 전에 인간의 지능을 얘기했던 학자나 20세기에 지능을 얘기한 학자나 이 세 가지는 아마 인간의 지적능력으로써 기본 요소로 보는 거 같아요. 그 외의 것들이 대안적 접근으로 얘기하는 가드너 이론의 특징이죠. 보실까요? 음악 지능, 신체운동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기이해자기 이해 지능 그리고 자연 관찰 지능입니다. 음악 지능, 신체운동 지능 이런 거는 지능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도 여전히 많이 있어요. 가드너가 이걸 지능으로 보는 이유. 왜 이걸 지능으로 봐야 되는지. 또 자기 이해 지능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 지능. 대인관계 지능. 이런 것들도 지능의 개념으로 들어왔어요. 전통적인 심리 측정적인 접근을 했던 학자들은 주로 인간의 지적능력을 인지적인 관점으로만 봤어요. 계산을 한다거나 언어를 한다거나 공간적인 거, 수리적인 거 주로 이런 것들이죠. 그런데 우리 교과로 말하면 음·미·체 같은 것들이 들어오기도 하고 다른 사람과 대인관계 하는 거까지도 지능으로 들어온 게 이 대안적 접근의 큰 특징입니다. 가드너 이론의 큰 특징입니다. 즉, 인지적인 거 이외에 여러 가지 요인들도 지능으로 보고 있는 거죠. 가드너 이론이 갖는 교육적 시사점은 우리 요즘 강점 기반 교육이라는 얘기 많이 해요. 그것과 연결이 되어서 교육적으로 활용도가 아주 높습니다. 이론에 대한 비판, 학자들이 하는 비판을 우리가 다 수용하지 않더라도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다면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겠죠. 그래서 강점 지능과 약점 지능, 이런 것들을 다중지능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고 학습자를 이해하는 데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주는 거죠. 진짜 옛날식으로 '당신의 아이는 혹은 이 학생은 IQ가 120이에요. '라고 하는 정보를 주는 것과 언어 지능은 어떻고 공간 지능은 어떻고 신체운동 지능은 어떻고, 이렇게 골고루 다 말해주면 학습자가 이해하는 것이 훨씬 더 풍부해지죠. 소스가 많아지는 거죠. 그런데 아까도 말씀드린 것처럼 연구가 타당하지 못했다든지 지능이냐 재능이냐의 개념을 구분하지 못한다든지 여러 가지 몇 가지 비판점들도 있지만, 우리가 여기서 비판점들을 하나씩 심도 있게 얘기하기보다는 가지고 있는 이론의 특징을 어떻게 교육적으로 잘 이용할 것인지, 이런 데 포커스를 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학교에서 강점 지능과 연결해서 쓴다거나 하는 방법이 하나 있었고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여덟 가지 지능 중에서 특별히 뛰어난 지능을 가지고 그 학습자를 구분하는 학습자 양식으로 사용하기도 해요. 언어적 지능이 뛰어나면 언어적 학습자, 음악적 지능이 뛰어나면 음악적 학습자라고 해서 그들이 갖고 있는 특기를 수업이나 교수학습 상황에서 잘 이용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을 설계하라고 하는 제안을 하기도 합니다. 가드너의 이론이 교육적인 기능을 많이 하는 이유는 조금 있다가 스턴버그와 비교해보겠습니다.

스턴버그의 삼원 지능 이론

스턴버그라고 하는 학자의 삼원 지능 이론입니다. 초기에 우리나라에서 삼위일체 지능 이론이라고도 말을 했었는데요. 약간 종교적이잖아요. 그래서 삼원 지능. 요소가 3개라고 해서 그 세 가지의 요소는 분석, 실제적, 창의적. 이 능력 세 가지를 가지고 요소 하위론, 상황 하위론, 경험 하위론이라고 하는 하위 이론을 다시 구축해서 이론을 정비했습니다. 가드너와 스턴버그, 조금 비교를 해보실 필요가 있어요. 분석 능력에서 말하는 요소 하위 이론이라고 하는 것은 수행, 메타, 지식 습득. 그래서 이 분석 능력이 기존의 심리 측정적인 접근을 했던 전통적인 학자들이 얘기했던 지능의 개념이 여기에 있습니다. 나머지 두 가지가 옛날 사람들은 하지 않았던, 심리 측정적 접근을 하지 않았던 학자들이 하는 대안적인 접근의 특징인데요. 하나가 상황 하위 이론으로 실제적인 능력이에요. 머리는 좋은데 현실 세계에 잘 적응하고 적용하는가. 환경에 대한 적응 또는 적응을 못할 경우에는 환경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가장 적절한 환경을 선택하는 것도 지적인 능력이라고 보는 거죠. 세 번째, 이게 가장 요즘 핫한 이슈인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를 보는 첫 번째 관점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지능 학자였던 스턴버그가 창의적인 능력을 지능의 하나의 요소로, 삼원 중에서 하나의 요소로써 얘기를 하는 거죠. 창의력은 경험 하위 이론으로 설명을 하면서 새로운 경험을 과거의 경험에 연결시키거나 아니면 새로운 패턴을 창조해 내거나. 요즘 21세기에 인재 상으로 가장 중요한 창의적 인간이죠. 그래서 창의적인 능력을 지적인 능력의 하나의 하위 요인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 스턴버그 이론의 하나의 특징입니다. 가드너가 교육적 시사점이 훨씬 많고 스턴버그는 교육적 시사점은 지능은 훈련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서 지능을 측정하고 훈련할 수 있다. 그런 훈련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된다. 또 교육과정 내에서 지능 훈련 프로그램이 잘 수행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된다. 이런 정도의 시사점을 우리가 도출할 수 있겠습니다.

가드너와 스턴버그의 이론 특징

사실 교육 현장에서는 스턴버그보다는 가드너가 훨씬 유명해요. 여러분이 들어보신 빈도에 따라서 그런 느낌이 드실 텐데요. 그 차이는 스턴버그는 심리학자입니다. 일반 심리학자. 가드너는 교육심리학자고요. 저희가 첫 번째 주제로 교육심리학의 성격을 다룰 때 제가 일반 심리학과 교육심리학이 어떻게 다른지 구분을 좀 하시고 그 역할과 기능을 잘 아셔서 교육하시는 분들은 교육심리학적인 특징을 잘 수행해 가시면 좋겠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런 특징 중에 일반 심리학은 인간의 특성을 알아내고 경제적이고 정밀하고 엄격한 방법을 쓰면서 가치중립적이고 있는 그대로만 설명하는 기술적인 그런 심리학의 특징이 있는 반면에 교육심리학은 가치 지향적이고 변화를 유도하는 이런 특징들이 있었어요. 스턴버그와 가드너가 그런 특징을 아주 잘 보여줍니다. 스턴버그는 지능 이론에 대해서 이론을 정립하는 일반 심리학자의 기능을 아주 잘할 거고 그런 목적이었고요. 오래 된 이론을 재정리해서 개념을 확대시키는, 창의성이라든지 경험의 요소들 그다음에 실제적인 능력까지도 가지고 들어오는 거죠. 그런데 가드너는 그런 일반 심리학자의 역할보다는 교육심리학자의 역할을 해서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쓸 것인지. 학습자를 구분한다든지 강점 기반 교육이라든지 이런 것들과 연결시켜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다 일일이 설계하고 제안해서 교사들에게 안내를 하기도 하는 역할을 굉장히 많이 했어요. 그래서 이론이 갖는 비중 그다음에 실제적인 비중 이런 것들이 두 사람이 조금 차이가 있어서 두 사람을 비교하실 때, 검사도 마찬가지입니다. 가드너는 다중지능 검사를 만들어서 많이 보급을 했는데, 스턴버그는 검사를 처음에 만들지 않았었어요. 그러다가 가드너와 하도 비교가 되니까 나중에 만들었는데, 요소가 3개이다 보니까 검사도 각각 세 가지로 합니다. 수에 대해서 분석, 요소 그다음에 경험 하위론, 상황 하위론. 이렇게 해서 세 가지 요소로 측정을 하니까 양이 굉장히 많은 거죠. 우리나라에도 스턴버그식 검사가 개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스턴버그와 가드너를 통해서 대안적 접근을 설명드렸고요. 지능의 개념과 이론을 얘기할 때 심리 측정 접근과 대안적 접근을 조금 구분하실 때 대안적 접근을 훨씬 더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이 지능의 개념에 포함되었다. 이런 것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