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
성별 차이에 따른 교육 접근 방법 성별 차이에 따른 교육 접근 방법 성차라는 개인차 변인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차는 그야말로 남자, 여자에 관한 문제입니다. 남자와 여자는 다른가요? 요즘 많이 재미난 그림들도 인터넷에서 많이 보실 수 있습니다. 뇌에 관한 구조라든지 또 사회 각층에서 요즘 나타나는 현상 중에 여고남저 현상이라고 하는 것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쉽게 말하면, 모든 시험이나 혹은 경쟁 구도에서 여학생들이 혹은 여자들이 훨씬 우수한 성적을 보인다는 거죠. 의사 고시, 약사 고시, 임용 고사, 각종 국가고시들에서 여성들이 우월한 성적을 보이는 거죠. 하다못해 아주 쉽게 학교에서 내신 성적만 해도 남녀공학에서는 여학생들이 유리한 경향을 보인다는 얘기도 있어서 그러면 여학생들이 정말 공부를 더 잘하는 건지 이게 생..
지능의 측정 방법 역사와 검사 방법 종류 지능의 측정 방법 역사와 검사 방법 종류 저희는 지금 개인차의 첫 번째 주제로 지능을 다루고 있고요. 지능 중에서 먼저 개념과 이론에 대해서 말씀드렸고 이번에는 지능의 측정에 대해서 얘기하고자 합니다. 개념 얘기할 때도 잠깐 말씀드렸지만, 지능은 특이하게 검사, 즉 측정이 먼저 발달한 유일한, 유일하다기보다는 좀 특이한 개념이에요. 다른 것들은 이론이 먼저 발달하는데. 지능 검사를 얘기할 때 우선 지능 검사뿐만 아니라 다른 것에도 적용이 되지만, 검사를 분류하는 기준에 대해서 먼저 말씀드리는 게 좋을 거 같아요. 지능 검사를 분류할 때는 일단 측정하는 내용이 일반 지능 검사냐 특수 지능 검사냐에 따라 다릅니다. 그래서 일반 지능 검사, 두루두루 재는 검사는 일반 지능 검사라고 하고 뭔가 하나 특별하게 수..
지능발달의 개인차에 대한 연구(유전 vs 환경) 지능발달의 개인차에 대한 연구(유전 vs 환경) 지능발달의 개인차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능을 측정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필요하냐에 대한 논란도 많이 있어요. 괜히 편견을 주는 것이 아니냐. 후광효과를 주는 것이 아니냐. 그래서 세대별로도 학교 교육에서 지능을 의무적으로 검사했던 시기가 있고 그렇지 않은 시기가 있고 지금은 지능 검사를 학교마다 해도 되고 안 해도 됩니다. 선택적이고 그렇지만 어디에도 기록을 남기지 않게 돼 있어요. 교사도 사람이기 때문에 편견 같은 걸 가지게 될 수 있죠, 지능 검사로 인해서. 예를 들어서 어떤 아이가 IQ가 되게 높다는 걸 알았는데, 수업 시간에 딴짓을 하고 산만하다. 그러면 '쟤는 머리가 좋은데 굉장히 수업에 집중도가 낮지만 굉장히 다른 관심이 있나 보다. ' 그..